-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06년 6월월
너는 어디에 있느냐
김관후 너를 향한 깊디깊은 마음으로 밤새 노래를 불러보아도 너는 대답이 없구나 너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구나 너를 만나려고 골목길을 빠져나와 동네 어귀를 몰래 돌아 정거장까지 돌아나가도 너는 보이지 않는구나 어디로 해서 어떻게 가면 너를 만날수 있을까 너의 좌석 맞은 편에 … 계속 읽기
너는 어디에 있느냐
김관후 너를 향한 깊디깊은 마음으로 밤새 노래를 불러보아도 너는 대답이 없구나 너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구나 너를 만나려고 골목길을 빠져나와 동네 어귀를 몰래 돌아 정거장까지 돌아나가도 너는 보이지 않는구나 어디로 해서 어떻게 가면 너를 만날수 있을까 너의 좌석 맞은 편에 … 계속 읽기
그 벼랑에서
김관후 누가 바람을 불렀는가 누가 그 속으로 사라졌는가 어어어허어어 엉허야 달구 사람들을 일렬로 세워놓고 굴비 꿰듯 밧줄로 묶어 깊은 물줄기 따라 밀었구나 어어어허어어 엉허야 달구 통곡소리만 허공에 남았구나
당신의 언약
김관후 당신의 언약을 믿어야만 합니까? 그 비바람 부는 날 내 손을 잡고 아직 때가 아니라고 하시던 밤을 새우며 기다리라고 하시던 그 언약을 믿어야만 합니까? 당신의 언약을 믿어야만 합니까? 그 눈보라 치던 날 내 귀에 대고 추위는 물러나리라 하시던 지금 시절만 … 계속 읽기
당신의 언약
김관후 당신의 언약을 믿어야만 합니까? 그 비바람 부는 날 내 손을 잡고 아직 때가 아니라고 하시던 밤을 새우며 기다리라고 하시던 그 언약을 믿어야만 합니까? 당신의 언약을 믿어야만 합니까? 그 눈보라 치던 날 내 귀에 대고 추위는 물러나리라 하시던 지금 시절만 … 계속 읽기
아름다운 시절
김관후 우리들은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부르고 구호를 외치며 다시 어둠을 헤치며 걸어나갔다 밝은 태양이 뜬다는 기대감으로 목이 터져라고 하늘을 향해 외쳤다 그것이 혁명이었던가 의거였던가 그것을 알기에는 너무 어렸지만 우리들은 알려고도 하지 않았다 찬란한 아침만을 향했다 우리들의 우렁찬 외침으로 무엇인가 무너지고 … 계속 읽기
임을 부른다
김관후 갈가마귀 올까 토방마루에 누워 십리 길 어디에서 손짓하는 임을 가슴팍 누르면서 이름 석자 불러보니 임은 그날 눈물 흘리면서 자기 누을 자리 무덤 파고 있었네 양은냄비 놋그릇에 저녁밥 차려놓고 지게 지고 떠난 임 부르면서 젖가슴 누르며 멀리 나서니 갈가마귀 모래밭에 … 계속 읽기
당신을 기다리며
김관후 흙비 내리는 보리밭 고랑에서 당신을 기다렸습니다 온다고 한 당신은 오지 않고 까칠한 모래흙만 날렸습니다 행여 좋은 소식 있을까 기다렸지만 당신은 끔적 않았습니다 그냥 숨어 계시렵니까 장대비 멈춘 마을 오일장에는 꽹과리 소리만 요란합니다 당신의 흔적은 간데온데 없고 우리는 목청만 돋구고 … 계속 읽기
서글픈 사랑
김관후 나의 뼈에서 당신이어요 나의 살에서 당신이어요 나의 아픈 뼈마디에 나의 아픈 살더미에 당신은 긴 울음을 숨겨놨어요 그게 사랑이라고 진정한 사랑이라고 뼈와 살이 울었어요 멀리서 들려오는 쇳소리 비록 사랑을 가로막지만 산기슭에서 들여오는 움트는 소리 뜨거운 함성으로 피어났어요 당신을 놓지 않을래요 … 계속 읽기
사랑
저 억새 더미에 사랑이 숨어있다 늘 꿈에 동행하던 아비 냄새이다 어미의 몸속에서 아이가 숨쉬고 아비는 죽어서도 어미를 찾는다 사랑은 저 밭고랑 주검보다 지극하고 사랑은 저 봉화보다 황홀하고 사랑은 저 굽이치는 물살보다 새하얗고 사랑은 저 진달래보다 새빨갛다 저 가시덤불에 사랑이 숨어있다 … 계속 읽기
‘좌파’와 ‘우파’
김관후 우파(右派)는 자유와 성장을 강조하고 좌파(左派)는 평등과 분배를 강조한다. 우리는 우파를‘건전한 보수’라고 하지만, 사실 … 계속 읽기
4·3과 제국 아메리카
김관후 “4·3에 1948년 꽃피는 봄날에/누가 명령한 총탄에/양민은/10만이나/쓰러졌는가//저들은/ 인공 때문이라고 인공 때문이라고/40년 오늘까지 우려먹고 있지만/그것은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