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2년 2월월
문학작품과 제주4·3
문학작품과 제주4·3 김 관 후 ‘제주4·3사건’이라함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 제2조(2000.1.12) 1. ‘민중의 기억’과 4·3문학 “아, 너무도 불가사의하다. … 계속 읽기
<시> 다랑쉬굴을 찾아서 외 2편
다랑쉬굴을 찾아서 외 2편 김 관 후 구십이 가까운 어머니를 모시고 육십 여년 전 소식이 없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뭉게구름이 선명합니다 비구름이 몰아쳤단다 바람이 서늘합니다 칼바람이 허리깨를 들쑤셨단다 저기 가마솥과 질그롯과 애비가 사용하시던 물허벅과 요강을 찬찬히 보십시오 … 계속 읽기
제주학생인권조례, 가능한가
제주학생인권조례, 가능한가 김 관 후 캘리포니아 교육법에는 ‘어느 누구도 장애, 성별, 국적, 인종, 민족, 종교, 성적 지향에 근거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로 치면 학생인권조례보다 더 상위인 초중등교육법과 형법으로 명시하고 있는 셈이다. 뉴욕교육청 학생권리헌장에서도 성별, 성적 지향, 성적 … 계속 읽기
‘잘못된 것 깨고 바른 것 드러내자’
‘잘못된 것 깨고 바른 것 드러내자’ 김 관 후 교수신문이 2012년 새해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로 ‘파사현정’(破邪顯正)을 뽑았다. ‘잘못된 것은 깨뜨리고 바른 것을 드러낸다’는 뜻이다. 파사현정에서 ‘邪’와 ‘正’은 양립할 수 없는 반대 개념이다. ‘사’가 거짓, 악함, 탐욕, 자만과 독선, … 계속 읽기
마을공동체 복원
마을공동체 복원 김 관 후 마을이라는 단어에는 공동체라는 의미가 스며있다. 굳이 마을공동체라고 하는 것은 공동체다운 마을의 절심함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과거 마을공동체의 모습을 지금은 찾기 어려워졌다. 마을의 해체과정은 성장 중심의 산업화와 근대화에서 기인한다. 그 결과 도시생활로 인한 물질적 부의 증대와 … 계속 읽기
중국 예술가 아이웨이웨이
중국 예술가 아이웨이웨이 김 관 후 과거 독제체제에서는 예술가들이 그들의 작품을 통하여 반정부 활동에 혼신을 던졌다. 시인 김지하는 그의 시「오적(五賊)」으로 어두운 감옥살이를 했으며, 시인 고은은 또 어떤가? 제주출신 시인 김명식도 『제주민중항쟁』사건으로 많은 고생을 하였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체제하에서도 행동하는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