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3년 7월월
‘그 놈의 동상이 선 곳에는…민주주의의 첫 기둥을 세우고’
‘그 놈의 동상이 선 곳에는…민주주의의 첫 기둥을 세우고’ 데스크승인 2013.07.29 11:19:57 김관후 | kghoo21@naver.com (4) 국무회의에서 4·3 강경진압작전 지시, 이승만 – 이승만은 누구인가? ‘우선 그 놈의 사진을 떼어서 밑씻개로 하자/ 그 지긋지긋한 놈의 사진을 떼어서/ 조용히 개굴창에 넣고/ 썩어진 어제와 … 계속 읽기
추도시-우리의 고백
우리의 고백 김 관 후 우리가 어찌 하오리까 저 피고름의 아픔을 어찌 하오리까 그 새벽녘에 질질 끌려가신 그대들 우리가 끌고 갔다고 고백합니다 우리의 손에 피가 묻었다고 고백합니다 대체 우리가 어찌하란 말입니까 우리가 그 곳에서 한 사람씩 불렀습니다 구덩이 앞에 세우고 … 계속 읽기
일제강점기 옥고부터 인민유격대 요직까지
(3) 제28주년 3·1기념제주대회장, 안세훈 – 항일운동에 앞장선 안세훈 안세훈(安世勳, 일명 安堯儉, 1893~1953)은 조천리 2931번지에서 안태환(安台煥)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유년기를 향리 서당에서 한학을 익힌 다음, 전라도 광산군 하남면 장덕리로 가서 부해(浮海) 안병택(安秉宅, 1861~1936)에게 수학하였다. 조천 태생으로 제주최고의 한학자 안달삼(安達三)의 아들 안병택에게 글공부를 … 계속 읽기
“아이들은 그 바다에서 자기 조상의 피를 마신다”
“아이들은 그 바다에서 자기 조상의 피를 마신다” 데스크승인 2013.07.09 18:07:38 김관후 | kghoo21@naver.com (2) 성산포 터진목을 찾은 노벨문학상 수상자, 르 클레지오 ▲ 2008년 노벨문학수상자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Jean Marie Gustav Le Clezio). “성산일출봉을 보고 있노라면 마다가스카르 동쪽의 화산섬 마우리티우스의 … 계속 읽기
‘올레길 경제’-김관후
‘올레길 경제’-김관후 2013년 07월 11일 (목) 제주매일 제주특별자치도의 행태가 과녁을 너무 잘못 잡고 있다. 하는 일마다 헛소리이다. 지금만이 아니다. 지금은 너무 심하고, 과거부터 그랬다. 도지사는 외자유치만 강조하고, 하나가 성사되면 언론을 누비게 만든다. 도지사의 ‘4·3폭도’ 발언도 그렇지만, 하는 일마다 성에 차는 … 계속 읽기
내전과 대리전
내전과 대리전 김관후. 시인 / 소설가 데스크승인 2013.07.11 제주일보 | webmaster@jejunews.com “학생들의 70%가 6·25를 북침이라고 한다는 것은 우리 교육이 잘못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교육 현장의 역사 왜곡 을 바로잡겠다며 한 말이다. 그러나 그것은 해프닝에 가까웠다. 내전(內戰)이냐, 대리전(代理戰)이냐. 내전이면서 … 계속 읽기
노무현과 차베스
노무현과 차베스 김관후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 네 번 도전해서 당선됐다.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 대통령 도전 십 육년 만에 대통령 당선됐다. 베네수엘라 차베스(Hugo Chavez, 1954∼2013), 십 오년 만에 대통령 됐다. 노무현(盧武鉉, 1946~ 2009)은 어떤가? 노무현은 1988년 정계에 입문하여 청문회스타로 등장한다. 1990년 … 계속 읽기
제노사이드와 ‘제주4·3’
제노사이드와 ‘제주4·3’ 김 관 후 “과거는 잊히지 않는다. 과거의 고통은 계속되고 지연된 정의는 부정된 정의이다. 산에서 바다에 이르기까지 정의의 강은 반드시 자유롭게 흘러야 한다.” 존 베리(John Berry)의 말이다. 1948년 12월 9일 유엔총회는 을 체결하였다, 이 협약에 따르면 제노사이드는 “국민· 인종· … 계속 읽기
영혼 없는 지식인의 씁쓸한 말로(末路)…
영혼 없는 지식인의 씁쓸한 말로(末路)… 데스크승인 2013.07.01 10:13:20 김관후 | news@jejusori.net 역사적 사실조차 왜곡시키는 현길언, 보수 세력의 앞잡이인가 # ‘역사 만들기’가 ‘왜곡 만들기’로 어찌 이럴 수가 있는가? 어떻게 제주4·3을 이렇게 폄훼할 수 있는가? 그렇게 믿었던 제주출신 소설가이며, 학자가 아닌가? 제주4·3진상규명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