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3년 10월월
‘매카시 교수 떠나라’
‘매카시 교수 떠나라’ 김관후. 소설가. 시인 데스크승인 2013.10.24 제주일보 | webmaster@jejunews.com “현재 좌파 진영이 교육계와 언론계의 70%, 예술계의 80%, 출판계의 90%, 학계의 60%, 연예계의 70%를 각각 장악하고 있다.” 이명희 공주대 교수가 한 말이다. 한국사 교과서 문제를 좌우 진영의 이념전쟁으로 몰아가는 … 계속 읽기
‘이승만주의자’
이승만주의자’ 2013년 10월 23일 (수) 제주매일 ▲ 김관후 시인.소설가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이 조직한 친일 단체이다. 일본 국수주의자들이 막후의 조종자나 고문으로서 그들의 계책을 실천하는데 급급했다. 일제의 프로파간다 역할을 하여 국내의 여론을 이른바 ‘합방의 방향’으로 유도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 정치적 사건이 … 계속 읽기
“우린 가진 것도 없는데, 더 지켜보자”
“우린 가진 것도 없는데, 더 지켜보자” 데스크승인 2013.10.14 09:19:48 김관후 | kghoo21@naver.com (10)건국준비위원회 집행위원으로 활동한 조몽구 – 일본으로 건너가 항일운동 조몽구(趙夢九, 1908~1973)는 표선면 성읍리에서 태어나 정의공립보통학교를 거쳐 경성공립제1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노동조합 활동을 시작했다. 정의공립보통학교 은사 김문준(金文準)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계속 읽기
[제주논단] 아버지와 아들
[제주논단] 아버지와 아들 김관후. 소설가. 시인 데스크승인 2013.10.07 제주일보 | webmaster@jejunews.com ‘아버지와 아들’은 19세기 러시아의 작가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1818~ 1883)의 대표작이다. 당시의 이상주의적 자유주의자들을 ‘아버지 세대’로, 혁명적 민주주의자들을 ‘아들 세대’로 설정해 그 갈등과 대립을 그린 작품이다. 소설 속의 아버지는 귀족의 … 계속 읽기
‘베르테르 효과’를 차단하자
‘베르테르 효과’를 차단하자-김관후 2013년 10월 03일 (목) 제주매일 ▲ 김관후-시인/소설가 시인 기형도(1960∼1989)는 그의 시 「비가 2」에서 “살아 있으라, 누구든 살아 있으라.”고 노래하였다. “살아 있으라”는 말은 우리 곁에, 우리들 모두의 기억 속에 죽어가는 자들이 살아 숨쉬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지만 기형도는 자살을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