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4년 11월월
“육지경찰과 제주경찰, 충돌 가능성도 있다”
(36) 국방경비대 사령관에 이어 민정장관에 취임한 베로스 제주4·3과 미국 ▲ 일본군 요새로 전락한 제주도. ‘본인은 대통령의 사과 소식을 듣게 돼 기쁩니다. 본인은 그와 관련된 어떠한 기사도 보지 못했습니다. 본인은 적어도 미국 대통령이 그 곳에 가기를 희망합니다. 미국이 이 끔찍한 비극에 … 계속 읽기
그림자 글쟁이
‘퇴고하지 않은 저녁이 온다// 비문 속 아내는 새들의 귀를 잘라/ 밥무덤을 만든다// 오체투지(五體投地)하는 삶의 감각을 환상통이라 부른 이래/ 쓰지 않은 연필심이 닳아버릴 때도 있었다// 허구와 병듦, 수식 없는 문장을 쓸 때마다/ 신열이 올랐지만// 나의 전기엔 인칭을 붙여줄 생애가 없었다.’ 기혁의 … 계속 읽기
“양놈 사상 전파하는 미제국주의 스파이”
(35) 4·3 당시 순교한 제주출신 첫 교역자 이도종 이도종, 그는 누구인가 ▲ 이도종 목사. ‘제주도 역사상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내고,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상상할 수 없는 비극이 초래된 것이다. 젖먹이 어린아이부터 늙은 노파에 이르기까지 4·3의 비극은 피할 수 없었다. … 계속 읽기
‘팍스’와 ‘샬롬’
유대인들은 인사할 때 ‘샬롬’이라고 말한다. 자녀들이 나치정권에 끌려갈 때 자식들이 귀에다 ‘샬롬’ 한마디를 전해주었다. 거기에는 너희는 어디를 가든, 어떠한 어려운 상황을 만나든 선민 유대인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 담겨져 있다. 나라를 다시 찾은 다음 유대인들이 텔아비브에서 만났을 때 또 역시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