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6년 7월월
‘아프고 시린 언어 찾기가 계속되다’
섬 곳곳은 죽임의 현장 ※김종원(金鍾元)의 시 「奉蓋洞(봉개동)」은 1962년 『濟州道(제주도)』에 발표된 작품이다. 그 시가 발표된 시기는 1960년 4·19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물러나고, 1961년 5·16군사정변이 우리의 눈과 귀를 막고, 입까지 봉쇄한 직후였다. ‘혁명공약’을 달달 외우던 그 참혹한 어둠의 터널을 뚫고 「奉蓋洞(봉개동)」은 세상에 낯을 … 계속 읽기
제주문학관’ 건립논의
[제주일보] 괴테 하우스(Goethe House)는 독일 헤센주(州)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있는 괴테의 생가이다. 괴테가 ‘파우스트’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 수많은 작품들을 집필한 방이 있는데 항상 서서 글을 썼던 그가 사용하던 높은 책상이 있다. 단테의 생가(Dante’s Birthplace)는 시인 단테(1265~1321)가 태어난 집이다. 단테 알리기에리 거리(Via. … 계속 읽기
‘금수저’와 ‘흙수저’
한국의 대학서열체제는 서울대를 중심으로 서울의 사립대, 수도권대, 지방 국립대, 지방 사립대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육의 모순이 응결되어 있는 학벌사회의 형성이다. 대학서열체제는 입학생들의 성적에 의해 결정되며 졸업생들의 사회적 권력에 의해 완성된다. 한 결혼정보회사가 내건 테스트는 출신 학교에 따라 사람에 점수를 매긴다. … 계속 읽기
‘죽임의 역사를 복원하는 문학’
‘죽임의 역사를 복원하는 문학’ -제주4․3문학, 아프고 시린 언어 찾기 1. 해방공간과 반미시(反美詩) “조선의 주민에 포고함. 태평양미국육군최고지휘관으로서 좌기(左記)와 여(如)히 포고함. 일본국 천황과 정부와 대본영(大本營)을 대표하여 서명한 항복문서의 조항에 의하여 본관 휘하의 전첩군(戰捷軍)은 본일(本日) 북위 38도 이남의 조선지역을 점령함. 오랫동안 조선인의 노예화된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