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6년 10월월
사회의식을 갖춘 작가가 필요하다
‘현길언’ 이름 석 자를 도민의 인명사전에서 지워야 되지 않을까? 그를 제주출신 지식인이라고 이름 붙이기에는 너무 낯부끄러운 글을 쓰고 행동하고 있으니 하는 말이다. 4․3을 향한 그의 치욕적인 언어행태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자못 가슴이 서려온다. 얼마 전 제주4․3평화공원에서 예정됐던 현길언의 특강 … 계속 읽기
‘바람만이 아는 대답’
[제주일보] “얼마나 많은 길을 헤매야/ 우리는 그를 어른이라고 부를 수 있나요?/ 하얀 비둘기는 얼마나 많은 바다를 항해해야/ 모래사장에 잠들 수 있나요?/ 대포알을 몇 번이나 더 쏘아야/ 영원히 금지될 수 있나요?/ 친구여, 답은 바람 속에 있어요/ 그 답은 바람만이 알아요/ 친구여, … 계속 읽기
‘의(義)로운 사람들’
[제주일보] 의(義)로운 사람만이 난세를 잡을 수 있다. 그리스의 철학자 디오게네스(Diogenes)는 의로운 사람을 찾기 위해 대낮에 등불을 켜고 다녔다. 그가 찾으려 한 사람은 사람다운 사람, 의로운 사람이었다. 구약성서 창세기에는 소돔과 고모라가 의인 열 사람이 없어서 멸망한 이야기가 나온다. 동양과 서양, 예나 … 계속 읽기
‘북쪽 먼 하늘로 날려 보낸 새는 돌아오지 않는다’
< 김관후 칼럼> 연북정은 송매죽의 혈맹결의를 한 곳 cats.jpg ▲ 연북정. 사진 제공=김관후. ⓒ제주의소리 문학작품 속의 연북정 ‘기다림에 지친 사람들은 여기로 오라/ 내 책상다리를 하고 꼿꼿이 허리를 펴고 앉아/ 가끔은 소맷자락 긴 손을 이마에 대고/ 하마 그대 오시는가 북녘하늘 바다만 … 계속 읽기
비혼(非婚)은 보편 현상
[제주일보] 비혼(非婚)은 ‘혼인 상태가 아님’이라는, 여성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휘이다. 이에 반하여 미혼(未婚)은 ‘혼인은 원래 해야 하는 것이나 아직 하지 않은 것’의 의미를 일컫는 경향이 크다. 그래서 비혼과 미혼은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현존하는 프랑스 최고의 수재’라고 불리는 프랑스의 대표적 지성 자크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