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
작가 칼럼니스트 김관후
글 목록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7년 3월
- 2017년 2월
- 2017년 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9월
- 2016년 8월
- 2016년 7월
- 2016년 6월
- 2016년 5월
- 2016년 4월
- 2016년 3월
- 2016년 2월
- 2016년 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9월
- 2015년 8월
- 2015년 7월
- 2015년 6월
- 2015년 5월
- 2015년 4월
- 2015년 3월
- 2015년 2월
- 2015년 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9월
- 2014년 8월
- 2014년 7월
- 2014년 6월
- 2014년 5월
- 2014년 4월
- 2014년 3월
- 2014년 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9월
- 2013년 8월
- 2013년 7월
- 2013년 6월
- 2013년 5월
- 2013년 4월
- 2013년 3월
- 2013년 2월
- 2013년 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9월
- 2012년 8월
- 2012년 7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 2012년 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9월
- 2011년 8월
- 2011년 7월
- 2011년 6월
- 2011년 5월
- 2011년 4월
- 2011년 3월
- 2011년 2월
- 2011년 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9월
- 2010년 8월
- 2010년 7월
- 2010년 6월
- 2010년 5월
- 2010년 4월
- 2010년 3월
- 2010년 2월
- 2010년 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9월
- 2009년 8월
- 2009년 7월
- 2009년 6월
- 2009년 5월
- 2009년 4월
- 2009년 3월
- 2009년 2월
- 2009년 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9월
- 2008년 8월
- 2008년 7월
- 2008년 6월
- 2008년 5월
- 2008년 4월
- 2008년 3월
- 2008년 2월
- 2008년 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9월
- 2007년 8월
- 2007년 7월
- 2007년 6월
- 2007년 5월
- 2007년 4월
- 2007년 3월
- 2007년 2월
- 2007년 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9월
- 2006년 8월
- 2006년 7월
- 2006년 6월
- 2006년 5월
- 2006년 4월
- 2006년 2월
월간 보관물: 2017년 6월월
정당 이름, 문제 투성이
제주일보] 정당(政黨, political party)에 관한 정의는 영국의 버크(Burke,E.)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정당이란 ‘주의(主義)와 정견(政見)을 같이하는 사람들이 그 주의와 정견에 의거한 공동의 노력으로써 일반적 이익을 증진하고자 결합한 단체’이다. 여기서 주목하여야 할 것은 ‘어떠한 방법’으로 ‘누구의 이익’을 추구하고자 결합한 단체냐 … 계속 읽기
단편소설-고향은 지금
도의회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속개되었다.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들겼다. “청문회를 계속하겠습니다. 증인선서가 있겠습니다.” 증인석으로 카메라 앵글이 옮겨졌다. 한 노인이 증인석에서 일어섰다. 그의 얼굴이 모니터에 크게 확대되었다. 여든이 훨씬 지난 노인이다. 문칠봉이다. 나이를 먹었지만, 둥그렇고 부리부리한 방울눈에 두툼하게 살이 오른 목덜미, 축 처진 군턱의 … 계속 읽기
함덕문학-책 머리에
■책머리에 모닥불 피우며, ‘문(文)’을 살리자 □ ‘새끼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랑닢도 머리카락도 헝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왓장도 닭의 짖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 // 재당도 초시도 문장(門長) 늙은이도 더부살이 아이도 새사위도 갓사둔도 나그네도 주인도 할아버지도 손자도 붓장사도 땜쟁이도 큰 개도 … 계속 읽기
나는 왜 쓰는가
[제주일보] 작가는 왜 쓰는가. 작가는 작가로서 어떤 책무가 있어서 밤에 불을 밝히는가. 잠을 설치며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거나 원고지 앞에서 끙끙거리는 작가들은 가끔 ‘내가 왜 이런 미친 짓을 하지’라고 스스로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나는 왜 쓰는가. 나는 왜 사는가. ‘왜 … 계속 읽기
‘나만 안 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제주일보] 미국의 한 트위터 이용자는 ‘16세에 투표권을 주지 않으면서 당장 내일 죽을 수도 있는 100살 노인들에게도 투표권을 줘서 멋대로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게 한다’는 내용을 게재해 수많은 사람들의 반응을 이끌어냈다. 사실 ‘노인들이 젊은이들의 미래를 결정한다’는 말은 트럼프 대선 때 나온 말이다. … 계속 읽기